본문 바로가기

정말 알리고 싶은 이야기

옛 소련 10개국 시장 하나로 뭉친다.

자유무역지대 구성합의 푸틴‘공동체 창설’ 첫 발

한국일보 2011년 10월 19일

러시아 대통령을 예약한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의 야심이 끝이 없다. 이번에는 구 소련 영토를 포괄하는 정치ㆍ경제 공동체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 과거 소비에트 연방과 같은 초국가 공동체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19일 AFP 통신에 따르면 푸틴 총리는 "소련에 속했던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이 자유무역지대(유라시아 공동체)를 구성하는 방안에 합의했다"며 "길었지만 건설적인 협상을 거쳐 (공동체 창설을 위한) 핵심 문제를 풀어냈다"고 밝혔다.

유라시아 공동체에 참여하는 국가는 구소련 15개 공화국 중 발트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과 조지아(그루지야), 몰도바를 뺀 10개국이다. 가입을 고려중인 투르크메니스탄을 포함하면 11개국이다. 계획대로 내년 1월 유라시아 공동체가 정식 출범하면 관세장벽이 철폐되고 회원국 간 공동시장이 형성된다.

푸틴이 유라시아 공동체를 집권 3기 핵심 과제로 추진하는 표면적 이유는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거대경제권에 대항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미국에 대항할 정치ㆍ군사 블록을 확보하려는 세계전략 차원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이 중동에 신경 쓰고 EU가 내부 재정문제 때문에 동진을 주저하고 있기 때문에 구소련 국가에게 푸틴의 구상은 EU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보다 더 매력적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EU에 가입하려면 민주화 등의 엄격한 요건을 갖춰야 하지만 유라시아 공동체에는 그런 조건이 없다.

이에 따라 유라시아 공동체는 푸틴이 밝힌 경제ㆍ통상의 차원을 넘어 외교ㆍ안보 영역을 포괄하는 정치공동체로 발전할 공산이 크다. 푸틴의 입김도 강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자신의 대통령 복귀를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4선에 비유했던 푸틴은, 극동에서 유럽에 걸쳐 15개 공화국을 호령했던 요제프 스탈린에 더 가깝다는 지적을 받을만하다.